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군대 계급 총 정리 : 군대 계급 서열과 의미를 쉽게 알아보자

by 출연요청 2023. 6. 12.

안녕하세요 출연요청입니다 :D

대한민국 남자는 의무 복무로 대다수 군복무를 해서 군대 계급에 대해 잘 압니다. 하지만 군 복무를 하지 않은 사람들, 특히 자녀를 군대에 보내야 할 어머님들은 군 계급에 대해 생소하실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군대 계급을 서열 별로 총 정리해서 알기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군대-계급-총-정리-썸네일


목차


    병사

    의무 복무를 하게 된다면 장교로 복무하지 않는 이상 모두 병사로 복무하게 됩니다. 병사의 뜻은 지층을 의미하며 군조직의 기반으로서 복종심, 단결, 전우애를 바탕으로 한 군인정신을 상징합니다. 3군 모두 계급 체계는 동일하지만 막대기의 색상이 다른 점이 특징입니다.

    육군-병사-계급장
    (출처 : 육군 홈페이지) 육군 병사 계급장
    해군-병사-계급장
    (출처 : 해군 홈페이지) 해군 병사 계급장
    공군-병사-계급장
    (출처 : 공군 홈페이지) 공군 병사 계급장

    이등병, 일등병, 상등병, 병장 4계급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1957년부터 지금까지 현재의 체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병사로 입대하면 약 4주간 훈련소 생활을 하게 되는데 훈련병 시절에는 따로 계급장이 없으며, 훈련소 수료 후 이등병의 계급장이 주어집니다.

     

    참고로 2021년부터 현재(2023년)까지 대한민국 국군 병 계급별 복무기간은 이병(2개월) - 일병(6개월) - 상병(6개월) - 병장(나머지)입니다.

     

    부사관

    부사관(副士官)은 군대에서 장교와 병 사이에 있는 신분입니다. 부사관의 사(士)는 오랜 기간 많은 훈련을 거듭한 자를 상징합니다. 부사관은 이러한 풍부한 실전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부대 내에서 기술과 숙련을 요하는 분야에서 전문가로서 임무를 수행하며, 지휘관을 보좌하거나 분/소대 규모의 집단을 지휘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부사관-계급장
    (출처 : 육군 홈페이지) 부사관 계급장

    부사관의 계급장은 성장(계층)과 도약을 뜻하며 병의 상위계급으로서 장교와 병간 교량적 역할과 승리, 투지를 표현합니다. 하사, 중사, 상사, 원사 순으로 계급 체계가 구성되어 있으며, 지금의 계급 체계는 1994년부터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참고로 부사관 중 가장 높은 계급인 원사의 ★은 사병 최고의 경륜을 익힌 완숙된 존재임을 상징합니다.

     

    준사관

    준사관은 준위를 뜻하며 장교 바로 아래, 부사관 바로 위의 장교급 대우를 받는 군 간부를 말합니다. 준위는 민간인이 시험을 쳐서 임관하거나, 부사관 중 상사이상의 계급에서 진급시험에 합격하면 준위로 진급하게 됩니다.

    준사관-계급장
    (출처 : 육군 홈페이지) 준사관 계급장

     

    위관급 장교

    위관 장교란 군대에서 초급장교인 소위, 중위, 대위를 일컫는 표현입니다. 위관 장교의 계급장은 금강석을 뜻하며, 금강석은 지하층에 위치, 장교로서의 초석을 의미하는 것으로 초급간부로서의 국가 수호의 굳건한 간성임을 상징합니다.

    위관급-계급장
    (출처 : 육군 홈페이지) 위관급 장교 계급장

    소위부터는 장교로 임관하게 되어 군 복무를 시작합니다. 또한, 소대장, 중대장, 하급 부대의 참모직이나 과장 등의 직책을 맡으며 부대를 관리하게 됩니다. 참고로 소위의 신분별 위치는 국가 공무원 7급이며, 부사관의 하사는 9급입니다.

     

    임관 방법은 각군 사관학교, ROTC, OCS, 간부사관 제도를 통해 임관됩니다.

     

    영관급 장교

    영관 장교의 계급은 소령, 중령, 대령으로 구성됩니다. 영관 장교의 의미는 위관급 장교로 복무하면서 학습한 군인의 능력을 바탕으로 부대를 지휘할 권한이 부여된 장교로 동시에 부대의 실무를 담당하는 부사관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부대를 지휘하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장교임을 의미합니다.

    영관-계급장
    (출처 : 육군 홈페이지) 영관급 장교 계급장

    계급장은 대나무 잎을 아름답게 꽃모양으로 구성한 것으로 사철 항상 푸르름과 굳건한 기상, 절개를 상징합니다. 참고로 영관 장교의 하위 계급인 소령은 소위로 임관하고 10년 이상이 흘러야지 진급 가능합니다. 일반 기업으로 보면 중간관리직인 과장과 부장으로 승진한 직원인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장성급 장교(장군)

    전통적으로 장군, 제독이라고 불리던 군의 최상부 계급으로 흔히 장성이라고 불립니다. 계급은 준장, 소장, 중장, 대장으로 구분됩니다. 계급장의 모양이 별인 거처럼 장교로서 장성으로 진급하는 건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습니다. 그만큼 장성으로 진급하게 되면 얻게 되는 이점도 많습니다.(개인 차량, 개인 비서 등) 사기업으로 따지자면 장성은 임원급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장성-계급장
    (출처 : 육군 홈페이지) 장성급 장교 계급장

    계급장의 "별"은 스스로 빛을 발하는 천체로서 군의 모든 경륜을 익힌 완숙된 존재임을 상징합니다.

     

    참고로 대장 다음 원수라는 계급이 존재합니다. 원수는 군대의 장성급 장교의 최고 계급이자 군대 계급의 진정한 최고봉이입니다. 이 계급을 법령상 제정해두고 있다고 하더라도, 많은 나라들에서 보통 평시에는 원수를 상설 계급으로 두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수-계급장
    군 최고의 계급인 '원수'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군 인사법령상에 원수 계급이 제정되어 있으나, 2023년 현재까지 원수로 진급한 사례는 없습니다. 원수 계급은 대부분 의전서열 정리 아니면 전쟁영웅을 위한 예우와 같은 명예 계급의 의미가 강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나라는 원수 계급이 존재했던 경우가 있습니다. 가장 큰 예로는 6.25 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을 지휘한 미국의 맥아더 장군이 원수 계급이었습니다.

    미국-맥아더-장군-컬러-사진
    미국의 전설적인 장교 더 글라스 맥아더 장군의 계급은 원수였습니다.


    오늘 글은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

    좋은 하루 보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

    트롤리 딜레마 뜻과 사례 :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은 괜찮은 걸까?

    포스파티딜세린 부작용 알고 드시나요? : 모르고 섭취하면 오히려 독

    댓글